본문 바로가기
728x90

Study (Data Science)/Python44

참고) Scalar, Vector, Matrix, Tensor 1. Scala : 단일 숫자 / 0차 텐서 / 소문자 normal n : 양의 정수 집합 (1,2,3..) z : 양,음수와 0의 집합 (...,-2,-1,0,1,2,...) q : 유리수 (z + 분수) 값 (Value)을 나타냄 2. Vector : Scala의 배열 / ordered arrays / 1차 텐서 / 소문자 Bold Scala는 값 1개만 나타낸다면, Vector는 크기와 방향, 속도와 거리, 속도와 속도차, 텍스트에서 단어간의 연관성, 이미지에서의 픽셀 집적도 (intensity) 등을 인코딩할 수 있게 함. 머신러닝에서는 feature vector라고 표현되기도 함. (Which are their individual components specifying how important .. 2022. 11. 24.
Unit 20. FizzBuzz Practice 1. 1에서 100까지 출력 3의 배수는 Fizz 출력 5의 배수는 Buzz 출력 3과 5의 공배수는 FizzBuzz 출력 My answer 1 숫자 대신 fizz와 buzz를 출력했어야 했다. Answer 2 Practice 2. 3과 5의 공배수 Answer 혹은, if i % 15 == 0: 이렇게 15로 나눴을때 나머지가 없는 값을 줘도 됨. 코드 줄이기 문자열 * 1 = True , 문자열 * 0 = False 라는 특징을 이용한 것. 중간에 +를 넣으면 공배수에 FizzBuzz라고 출력가능 Practice 3. 2과 11의 배수, 공배수 처리하기 다음 소스 코드를 완성하여 1부터 100까지의 숫자를 출력하면서 2의 배수일 때는 'Fizz', 11의 배수일 때는 'Buzz', 2.. 2022. 11. 24.
Unit 19. Star tree ; 중첩 loop Star tree output * ** *** **** ***** input 1 - ok 하지만 중첩 루프를 쓰지 않은 결과라 업데이트가 필요. input 1-1 별갯수가 j와 같게 하면 j가 1일때 별이 한개만 나올꺼라고 생각했는데, ----> 방향으로 j의 갯수만큼 별이 다 채워져버렸다. input 1-2 옆방향의 별의 갯수가 i의 갯수와 같아서 이렇게 넣었는데, 트리가 옆으로 4개나 나왔다. 옆으로 나오는 횟수를 i만큼으로 줄여야 할 것 같은데,, input 1-3 옆으로가 줄어들긴 했다. 딱 i만큼으로 줄었다. 생각이 잘못되었나보다. 횟수가 i만큼이 아니라 1만큼이어야 한다. input 1-4 Blank를 줄여야한다. input 1-5 Answer if j 2022. 11. 24.
Fund 3. Terminal(Linux OS), Hardware Computer Hardware 반도체의 제작과정을 너무 잘 보여줘서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6-tKOHICqrI&t=4s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 : 반도체인 실리콘 웨이퍼 위에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s, IC)를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을 통해 회로를 인쇄해 만듬 기계어 : CPU칩이 처리할 수 있는 명령어 Compile : 우리가 쓰는 프로그래밍 언어(C, C++, Python)를 기계어로 바꿔주는 것. 제조사 : 삼성(Exynos등), 애플(A,M시리즈등), 퀄컴 등.. 구분 : 32bit, 64bit : CPU가 한번에 읽고 쓸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 프로세스 할당.. 2022. 11. 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