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zip( ) 함수
zip 여러개의 iterable 객체 (like. list, tuple, dic..) 을 객체로 받으면서, 각 객체가 담고 있는 원소를 차례로 접근할 수 있는 능력자 iterator. 원래는 이렇게 for문을 두 리스트에 돌리겠지만, >>> numbers = [1, 2, 3] >>> letters = ["A", "B", "C"] >>> for i in range(3): ... pair = (numbers[i], letters[i]) ... print(pair) ... (1, 'A') (2, 'B') (3, 'C') zip을 사용하면, >>> for i in range(3): ... pair = (numbers[i], letters[i]) 이렇게 두 줄이 >>> for pair in zip(numbers,..
2022. 11. 29.
Unit30. *args / **kwargs (가변인자; Variadic Parameters)
인자 Argument에는 두 종류가 있다. 그리고 항상 함수를 실행시키는 인자를 줄 때에는, positional은 필수조건이므로 무조건 줘야 하고, 앞에 줘야하고, keyword는 필수가 아니므로 안주면 생략가능하고, positional갯수를 채운 뒤에 줘야한다. Positional arguments : 정해지는 인자 ; first, second Keyword arguments : 키워드로 잡는 인자 ; third, fourth 코드로 보면, def save_ranking(first, second, third=None, fourth=None): .... save_ranking('Alice', 'Bella', 'Mike', fourth = 'Daniel') 이렇게 될 때, Positinal 두개 다 채워서..
2022. 11. 29.
참고) map + lambda
lambda (원래모습 : 바뀐모습) print( (lambda x,y: x + y)(10, 20) ) 인자까지 한꺼번에 줄 수있음 map (def명, 넣을것) 순회가능한 데이터를 저 함수에 넣어 ouput을 도출하겠다. 는 뜻. map(변환 함수, 순회 가능한 데이터) map은 꼭 list로 변환해줘야 값을 볼 수 있음. def list_mul(x): return x * 2 result = list(map(list_mul, [1, 2, 3])) print(result) lambda + map map이 lambda 식 자체를 인수로 가짐. i 를 i*2로 바꿀꺼고 (lambda), [1,2,3]을 i로 돌릴꺼야 (map) result = list(map(lambda i: i * 2 , [1, 2, 3])..
2022. 11. 29.
참고) Enumerate/Yield/Generator/Try/Accept/Multiprocessing
Enumerate for문에서 인덱스도 같이 출력할 때. for i, value in enumerate(리스트명) my_list = ['a','b','c','d'] for i, value in enumerate(my_list): print("순번 : ", i, " , 값 : ", value) Generator, yield yield를 쓰면 generator로 연결된다. generator는 lazy iterator. 반복문을 출력할 때에도 주르륵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 출력하고 쉬고, 하나 출력하고 쉬고. 데이터가 많을 때 메모리 사용이 효율적이어서 자주 사용하는 파이썬의 기능. 참고 사이트 : https://www.daleseo.com/python-yield/ 파이썬의 yield 키워드와 제너레이터..
2022. 11. 29.
Unit 26. 세트(set)
Set : 집합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등의 연산을 가능케 하는 집합으로 {값1,값2,값3} 이런식ㅇ로 이루어져 있음. 출력을 할 때에는 randomly하게 출력하기 때문에, index를 지정하여 출력이 불가하고, 집합안에 중복된 것은 알아서 하나만 출력. 딕셔너리와 형태 주의하여 쓰기 >>> c = {} # 이렇게 빈 중괄호를 치면, 빈 딕셔너리가 됨. >>> type(c) >>> c = set() # 꼭 이렇게 set()이라고 지정해야 세트가됨. >>> type(c) set.union(세트1, 세트2) : 합집합 {1,2,3,4,5,6} 논리연산자 and와 같은 원리 set.intersection(세트1,세트2) : 교집합 {3,4} set.difference(세트1, 세트2) : 대칭차집합 {1,2..
2022. 11. 28.